Menu
계촌법
목 차
1. 세(世)와 대(代)
2. 촌수(寸數)ì˜ ì •ì˜ì™€ 계산 ì›ë¦¬
3. 친가호칭(親家稱號)
4. 외가호칭(外家稱號)
5. 시가호칭(媤家稱號) ë° ì²˜ê°€í˜¸ì¹­(妻家稱號)
6. 고모가호칭(姑æ¯å®¶ç¨±è™Ÿ) ë° ì´ëª¨ê°€í˜¸ì¹­(姨æ¯å®¶ç¨±è™Ÿ)


세(世)와 대(代)


세와 대는 먼저 ë‹¤ìŒ ì„¸ 가지로 나눠 ì´í•´í•´ì•¼ 한다.

1. ì§ê³„혈통ì—ì„œ 사용하는 세와 대
 
 ì§ê³„ 혈통ì—ì„œ 사용하는 대는 父서부터 上으로 올려 친다.
 ê·¸ë¦¬ê³  세는 í•­ì‹œ 下로 내려와 본ì¸ê¹Œì§€ 친다.
  (예) 시조가 1세……본ì¸ì´ 22ì§¸ì¸ ê²½ìš° 22세ì†ì´ë¼ê³  하고 ì†(å­«)ìžë¥¼ 쓴다.
         ë˜ ëŒ€ì˜ ê²½ìš°ëŠ” 아버지가 1대…시조는 21대조가 ë˜ê³  할아버지ì´ìƒì€ ì¡°(祖)를 ì¨ì•¼í•œë‹¤.
<본 ì¸>
ì„¸ì† :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
    ëŒ€ì¡° : 21 20 19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5 4 3 2 1 ☆
(본ì¸ì´í•˜ 후ì†ì—게는 대를 쓰지 않는다)     ì„¸ì†   1   2   3
 
2. ì¼ë°˜ 모임 단체ì—ì„œ 사용하는 대
 
 ì˜ˆ) 초대 왕, 2대 왕, 3대 왕으로 부르고, ë˜í•œ 초대 국회ì˜ì›, 2대 국회ì˜ì›ìœ¼ë¡œ, ë˜ëŠ” 초대 회장, 2대 회장,
       3대 회장으로 부르다.
 
3. ë…ìž, 대가족, ëŒ€ë¬¼ë¦¼ì‚¬ì—…ì— ì‚¬ìš©í•˜ëŠ” 대
 
 ì˜ˆ) 2대 ìž, 3대 ë…ìž, ë˜ëŠ” 2대가 함께 산다, 3대가 함께 산다고 부른다.
       2대 전통사업, 3대 전통사업으로 부른다.

촌수(寸數)ì˜ ì •ì˜ì™€ 계산 ì›ë¦¬


촌수란 방계 친척 즉, 친(親)ì´ë‚˜ ì²™(戚) 사ì´ì˜ 멀고 ê°€ê¹Œì›€ì„ íŒŒì•…í•˜ê¸° 위해 ê³ ì•ˆëœ ìˆ«ìž ì²´ê³„ì´ë‹¤. 그러므로 ì´Œìˆ˜ì˜ ê¸°ë³¸ ì •ì˜ì—ì„œ ì§ê³„ í˜ˆì¡±ì„ ì´Œìˆ˜ë¡œ 따지지 않는 ê²ƒì´ ì›ì¹™ì´ë‹¤.

촌수 ê³„ì‚°ì˜ ê¸°ë³¸ ì›ë¦¬ëŠ” 반드시 부모와 ìžì‹ 사ì´ì˜ 관계를 한마디(寸)ë¡œ 간주하여 계산ëœë‹¤. 즉, 나와 부모 사ì´ëŠ” í•œ 마디로 1ì´Œ ê´€ê³„ì— ìžˆë‹¤. ì§ê³„ 혈족 ê°„ì˜ ì´Œìˆ˜ëŠ” ìžì‹ ê³¼ 아버지 사ì´ì—만 사용하기 ë•Œë¬¸ì— ì„¸ëŒ€ìˆ˜ì™€ ìƒê´€ì—†ì´ 모ë‘ê°€ '1ì´Œ'ì´ë‹¤.

ë‚˜ì˜ í˜•ì œ(兄弟)와 남매(男妹)는 나와 ì§ì ‘ì ìœ¼ë¡œ 관계가 있는 ê²ƒì´ ì•„ë‹ˆë¼ ê°™ì€ ë¶€ëª¨ì˜ ìžì‹ì´ê¸°ì— 나와 관계지어졌다는 ì ì—ì„œ 나와 부모 사ì´ì˜ 1촌과 부모로부터 ë‚˜ì˜ í˜•ì œì™€ ë‚¨ë§¤ê¹Œì§€ì˜ '1ì´Œ'ì„ í•©í•˜ì—¬ '2ì´Œ' 관계가 있는 것으로 계산ëœë‹¤.

쉬운 촌수 계산법으로 ì„¸ëŒ€ì˜ ìˆ«ìžë¥¼ ì´ìš©í•˜ì—¬ 계산한다. ê³µë™ì‹œì¡°(å…±åŒå§‹ç¥–)ì—ì„œ ê°ìžì— ì´ë¥´ëŠ” 세대(世代) 수(數)를 ê°ê° 계산하여 ê·¸ 합계를 촌수로 한다. 4ì´Œì˜ ê³„ì‚°ì€ ë‚˜ì™€ í• ì•„ë²„ì§€ì˜ 2세대 수 2와 사촌과 í• ì•„ë²„ì§€ì˜ 2세대 수 2를 ë”하여 4ì´Œì´ ëœë‹¤.

촌수 계산ì—ì„œ ì§ê³„ì˜ ì„¸ëŒ€ 수를 촌수로 ì°©ê°í•´ì„œëŠ” 안ë˜ë©°, 외가 촌수 계산ì—ì„œ 외조(外祖)는 ì–´ë¨¸ë‹ˆì˜ ì§ê³„ì´ë¯€ë¡œ 촌수를 셈할 수 없다. 다만, 계산ìƒìœ¼ë¡œ 몇 대조ì¸ê°€ë¥¼ 셈하여 촌수를 따진다. 혼ì¸ìœ¼ë¡œ ì¸í•œ 부부 사ì´ëŠ” 피가 ì„žì´ì§€ 않았기 ë•Œë¬¸ì— ì´Œìˆ˜ê°€ 없다.


ì§ê³„ì¸ ê²½ìš° 무조건 1ì´Œì´ ë˜ëŠ” 것입니다.
촌수를 따지는 ê²ƒì€ ì§ê³„ ì¡´ Â· ë¹„ì†ê°„ì„ ë”°ì§€ê¸° ìœ„í•¨ì´ ì•„ë‹ˆë¼, 방계 ì¹œì¡±ê°„ì„ ë”°ì§€ê¸° 위함입니다.
그러므로 ì§ê³„ í˜ˆì¡±ì„ ì´Œìˆ˜ë¡œ 메기는 ê²ƒì€ ì²˜ìŒë¶€í„° ìž˜ëª»ëœ ê²ƒìž…ë‹ˆë‹¤.


촌수를 따지는 ì¼ì´ 쉬운 ì¼ì€ 아닙니다. 그러나 ê¼­ 따져보아야 í•  경우ì—는 따져야 합니다.
촌수를 따지기 위한 기본ì ì¸ 목ì ì€ 유복(有æœ)ì˜ ë¬¸ì œ ë•Œë¬¸ì¼ ê²ƒìž…ë‹ˆë‹¤. 즉, ì´ˆìƒì´ ë‚¬ì„ ê²½ìš° ìƒë³µì„ 입는 ì‚¬ëžŒì„ ë”°ì§€ê¸° 위함ì´ë¼ ìƒê°ë©ë‹ˆë‹¤.
그러나 지금 ìž˜ëª»ëœ ê³„ì´Œë²•ì´ ì •ì„¤ë¡œ ë˜ì–´ 있습니다. 얼마나 잘못ë˜ì—ˆëŠ”지 ì¡°ì°¨ë„ ëª¨ë¥´ê³  있다는 것입니다. ìž˜ëª»ëœ ì‚¬ì‹¤ì¡°ì°¨ 모르고 옳다고 우기시는 분들ì—게 ì•„ëž˜ì˜ ì˜ˆë¡œ 설명하겠습니다.

가령 부ã†ì¡°(조부)는 ëŒì•„가셨고 ì¦ì¡°(ì¦ì¡°ë¶€)ê°€ ì‚´ì•„ê³„ì‹œëŠ”ë° ì¦ì¡°(ì¦ì¡°ë¶€)ê°€ ëŒì•„가시게 ë˜ë©´ 주ìƒ(으뜸 ìƒì£¼)ì€ ëˆ„ê°€ ë˜ëŠëƒ 하는 문제입니다.
현재 ì¸í„°ë„·ì´ë‚˜, 언론ì—ì„œ 옳다고 ë§í•˜ëŠ” 촌수법으로 따지면 나와 ì¦ì¡°ëŠ” 3ì´Œì´ ë©ë‹ˆë‹¤.
그러나 ì¡°(조부)께서 주ìƒì´ ë˜ì–´ì•¼ 하나 ëŒì•„ê°€ì…¨ê¸°ì— ì£¼ìƒì´ ë  ìˆ˜ 없습니다. ë˜í•œ 아버지(부)ê»˜ì„œë„ ëŒì•„가셨기 ë•Œë¬¸ì— ì£¼ìƒì´ ë  ìˆ˜ 없습니다. ê²°êµ­ ì†ìžì¸ ë‚´ê°€ 주ìƒì´ ë˜ëŠ” 것입니다.
방계를 계산하는 ê²ƒì´ ì´Œìˆ˜ì¸ë° 나와 ì§ê³„ ì¡°ìƒì„ 촌수로 계산하게 ë˜ë©´ ë‚´ê°€ 주ìƒì´ ë  ìˆ˜ 없습니다.
그러나 ë‚´ê°€ ì¡°ìƒì˜ ì§ê³„비ì†(1ì´Œ, ìžì†)ì´ê¸° ë•Œë¬¸ì— ì£¼ìƒ(主喪)ì´ ë˜ëŠ” 것입니다.
ì´ëŸ° 경우를 승중ìƒ(承é‡å–ª)ì´ë¼ê³  합니다. ì œì‚¬ì‹œì— ì§ê³„ì¸ ê²½ìš°ì—는 ì¶•ì´ ìžˆê³ , ë°©ê³„ì¸ ê²½ìš°ì—는 ì¶•ì´ ì—†ìŠµë‹ˆë‹¤.


ì´ˆìƒì´ 나면 ìƒ(å–ª)ì„ ë°œí‘œí•©ë‹ˆë‹¤. ì´ë¥¼ ë°œìƒ(發喪)ì´ë¼ 합니다.
먼저 ìƒì œ(喪制, ìƒì„ 당한 ìžì†) 중ì—ì„œ 주ìƒ(主喪)ì„ ì •í•©ë‹ˆë‹¤.
주ìƒì€ ìƒì£¼ì¤‘ì—ì„œ ì´ˆìƒì„ 주관하는 사람입니다.
주ìƒì€ ì£½ì€ ì‚¬ëžŒì˜ ìž¥ë‚¨ì´ ë©ë‹ˆë‹¤. ìž¥ë‚¨ì´ ì£½ê³  없는 경우ì—는 장ì†ì´ 아버지 ëŒ€ì‹ ì— ë§ ìƒì£¼ê°€ ë©ë‹ˆë‹¤. ì´ë¥¼ 승중ìƒì´ë¼ 합니다.
 â€• ìž˜ëª»ëœ ê³„ì´Œë²•ì— ë”°ë¼ ì´í•´ë¥¼ 한다면 ì£½ì€ ì‚¬ëžŒì˜ ìž¥ë‚¨ê³¼ ì°¨ë‚¨ì€ 1ì´Œì´ ë˜ë‚˜ ì°¨ë‚¨ì€ ì£¼ìƒì´ ë  ìˆ˜ 없습니다.
    ìž¥ë‚¨ì´ 죽고 없다면 주ìƒì€ ì£½ì€ ì‚¬ëžŒì˜ ì†ìžê°€ ë˜ë‚˜ 촌수로는 2ì´Œì´ ë©ë‹ˆë‹¤.
 â€• ëª¨ìˆœì  : 촌수로 1ì´Œì¸ ìžì‹ì´ 있는ë°, 2ì´Œì¸ ì†ìžê°€ 주ìƒì´ ëœë‹¤ëŠ” ê²ƒì€ ëª¨ìˆœìž…ë‹ˆë‹¤.
 â€• ì†ìžê°€ 주ìƒì´ ë˜ëŠ” ì´ìœ ëŠ” ì§ê³„는 세대와 ìƒê´€ì—†ì´ 무조건 1ì´Œì´ê¸° 때문입니다.
    ì£½ì€ ì‚¬ëžŒì˜ ìžì†ì€ ëª¨ë‘ 1촌입니다. 즉, ì†ìžê°€ 1ì´Œì´ê¸° ë•Œë¬¸ì— ì£¼ìƒì´ ë©ë‹ˆë‹¤.

  
장ìžë‚˜ 장ì†ì˜ ìƒì€ ê·¸ 아버지나 할아버지가 주ìƒì´ ë©ë‹ˆë‹¤. 그러나 중ìž(衆å­, ë§ì•„들 ì´ì™¸ì˜ 모든 아들)나 중ì†(衆孫, ë§ì†ìž ì´ì™¸ì˜ 모든 ì†ìž)ì˜ ìƒì€ ê·¸ì˜ ì•„ë“¤ì´ ì£¼ìƒì´ ë©ë‹ˆë‹¤.

ë˜í•œ, 묘사(시사, 용어는 ì§€ë°©ì— ë”°ë¼ ë‹¤ë¥¼ 수 있습니다)는 기제사를 모시지 않는 4대조 ì´ìƒì˜ ì¡°ìƒ ëª¨ë‘를 í¬í•¨í•˜ì—¬ ë‚ ì„ ì •í•˜ì—¬ 묘사를 지내는 것입니다. ì´ ë•Œ ë¬˜ì‚¬ì— ì°¸ì„하는 ì‚¬ëžŒì€ ì§ê³„ ìžì†ë“¤ìž…니다.
ì§ê³„í˜ˆì¡±ì„ ìž˜ëª»ëœ ì´Œìˆ˜ë²•ìœ¼ë¡œ 따진다면, 본ì¸ì€ 문창후 32세ì†ìœ¼ë¡œ 31ì´Œê°„ì´ ë©ë‹ˆë‹¤.
놀랄 ì¼ë¡œ 31촌간으로 ë‚¨ì´ ë˜ê³  마는 것입니다.
ë²•ë¥ ì  ì¹œì¡±ì˜ ë²”ìœ„ë¥¼ 8촌으로 정하는 ì‚¬ì‹¤ì— ë¯¸ë£¨ì–´ 본다면 시조가 ë‚¨ì´ ë˜ê³  마는 것입니다.
ê°ížˆ, ìš°ë¦¬ì˜ ì‹œì¡° ê³ ìš´ 선조를 남ì´ë¼ ë§í•  수 있습니까?


ë˜ í•˜ë‚˜ì˜ ë¬¸ì œëŠ” ì¸í„°ë„·ì´ 급ì†ížˆ 보급ë˜ë©´ì„œ ìž˜ëª»ëœ ê³„ì´Œë²•ì´ ë„리 알려져 있다는 것입니다.
ê³„ì´Œë²•ì„ ìžì‹ ì˜ 홈페ì´ì§€ì— 소개하기 위하여 다른 사ì´íŠ¸ì˜ ìž˜ëª»ëœ ê³„ì´Œë²•ì„ ê·¸ëŒ€ë¡œ 게시하는 실정입니다.
신문, 언론 등ì—ì„œë„ ë„표까지 그려 ê³„ì´Œë²•ì„ ì„¤ëª…í•˜ê³  있으나, 틀린 내용으로 전달ë˜ê³  있습니다.
ìž˜ëª»ëœ ê³„ì´Œë²•ì´ ê°€ì¡±ê°„ì˜ ê·¸ 기본 질서를 해치는 것입니다. 지금ì´ë¼ë„ ìž˜ëª»ëœ ê³„ì´Œë²•ì„ ë°”ë¡œ 잡아야 하는 것입니다.


친가호칭(親家稱號)


관계 수
촌수(寸數)
내가 부를 때
칭호(稱號)
ë‚´ê°€ 남ì—게 ë§í•  ë•Œ
기지친ì†(己之親屬)
ë‚´ê°€ 나를 ë§í•  ë•Œ
친ì†ìžì¹­(親屬自稱)
ì¹­í˜¸ì˜ ì´ìœ 
연유(緣由)
ë‚¨ì˜ ê°€ì¡±ì„ ë§í•  ë•Œ
ì¸ì§€ì¹œì†(人之親屬)
1촌 아버지 부친, 가친, 엄친
父親, 家親, 嚴親
아버지
父
나를 낳아 주신 어른 존대ì¸
尊大人
1ì´Œ 어머니 모친, ìžì¹œ
æ¯è¦ª, 慈親
어머니
æ¯
나를 낳아 주신 어른 ìžë‹¹, 훤당
慈堂, è±å ‚

· 부모양친(父æ¯å…©è¦ª, 부모 모ë‘)ì´ ìƒì¡´(生存)하면 구경하(具慶下)
· 모친(æ¯è¦ª, 어머니)만 별세(別世, ëŒì•„가심)하면 엄시하(åš´ä¾ä¸‹)
· 부친(父親, 아버지)만 별세(別世, ëŒì•„가심)하면 ìžì‹œí•˜(æ…ˆä¾ä¸‹)
· 양친(兩親, 부모)ì´ ë‹¤ 별세(別世)하면 ì˜ê°í•˜(永感下)ë¼ í•©ë‹ˆë‹¤.
· ë‚˜ì˜ ë¶€ì¹œ 별세 후(父親別世後) 아버지를 선친(先親), ì„ ì¸(先人) ë˜ëŠ” ì„ ê³ (先考)ë¼ í•©ë‹ˆë‹¤.
· ë‚˜ì˜ ëª¨ì¹œ 별세 후(æ¯è¦ªåˆ¥ä¸–後)는 ì„ ë¹„ë¼ í•©ë‹ˆë‹¤.
· ë‚¨ì˜ ë¶€ì¹œ 별세 후(父親別世後)는 선부군(先府å›), 선대ì¸(先大人)ì´ë¼ 합니다.
· ë‚¨ì˜ ëª¨ì¹œ 별세 후(æ¯è¦ªåˆ¥ä¸–後)는 선부ì¸(先夫人), ì„ ìžë‹¹(先慈堂)ì´ë¼ 합니다.

 


관계 수
촌수(寸數)
내가 부를 때
칭호(稱號)
ë‚´ê°€ 남ì—게 ë§í•  ë•Œ
기지친ì†(己之親屬)
ë‚´ê°€ 나를 ë§í•  ë•Œ
친ì†ìžì¹­(親屬自稱)
ì¹­í˜¸ì˜ ì´ìœ 
연유(緣由)
ë‚¨ì˜ ê°€ì¡±ì„ ë§í•  ë•Œ
ì¸ì§€ì¹œì†(人之親屬)
1촌 할아버지 조부
祖父
조부
祖父
ì•„ë²„ì§€ì˜ ì•„ë²„ì§€ 왕존장
王尊丈
1촌 할머니 조모
祖æ¯
조모
祖æ¯
아버지ì˜ì–´ë¨¸ë‹ˆ 왕대부ì¸
王大夫人
1ì´Œ ì¦ì¡°í• ì•„버지 ì¦ì¡°ë¶€
曾祖父
ì¦ì¡°ë¶€
曾祖父
ì•„ë²„ì§€ì˜ í• ì•„ë²„ì§€  
1ì´Œ ì¦ì¡°í• ë¨¸ë‹ˆ ì¦ì¡°ëª¨
曾祖æ¯
ì¦ì¡°ëª¨
曾祖æ¯
ì•„ë²„ì§€ì˜ í• ë¨¸ë‹ˆ  
1촌 고조할아버지 고조부
高祖父
고조부
高祖父
í• ì•„ë²„ì§€ì˜ í• ì•„ë²„ì§€  
1촌 고조할머니 고조모
高祖æ¯
고조모
高祖æ¯
í• ì•„ë²„ì§€ì˜ í• ë¨¸ë‹ˆ  

·고조할아버지 ì´ìƒ(以上)ì€ ì˜¤ëŒ€ì¡°(五代祖), 육대조(六代祖), 칠대조(七代祖)ë¡œ ê´´ì–´ 올림.
·고조제사시(高祖祭祀時) 축(ç¥)ì—는 ê³ ì¡°ê³ (高祖考)ë¼ ì“°ê³  ì†(å­«)ì€ í˜„ì†(玄孫)으로 씀.


관계 수
촌수(寸數)
내가 부를 때
칭호(稱號)
ë‚´ê°€ 남ì—게 ë§í•  ë•Œ
기지친ì†(己之親屬)
ë‚´ê°€ 나를 ë§í•  ë•Œ
친ì†ìžì¹­(親屬自稱)
ì¹­í˜¸ì˜ ì´ìœ 
연유(緣由)
ë‚¨ì˜ ê°€ì¡±ì„ ë§í•  ë•Œ
ì¸ì§€ì¹œì†(人之親屬)
1ì´Œ 아들 가아, ëˆì•„
家兒,豚兒
소ìž
å°å­
ë‚´ê°€ ë‚³ì€ ìžì‹ 賢胤,胤玉
  ë©°ëŠë¦¬ ìžë¶€
å­å©¦
  ì•„ë“¤ì˜ ì²˜ ìžë¶€
å­å©¦
1ì´Œ 딸 ì—¬ì‹, 여야
女æ¯, ï¦é˜¿
ì—¬ì‹
女æ¯
ë‚´ê°€ ë‚³ì€ ë”¸ ì˜ì• 
令愛
1ì´Œ ì†ìž ì†ìž
å­«å­
ì†
å­«
ì•„ë“¤ì˜ ì•„ë“¤ ì˜ì†
令孫
1ì´Œ ì†ë…€ ì†ë…€
孫女
ì†ë…€
孫女
아들ì˜ë”¸  
2ì´Œ ë§í˜• 백형, 사백
伯兄, èˆä¼¯
형
å…„
형제간 ì˜ë°±ì”¨
令伯æ°
  ë§í˜•ìˆ˜ 형수
å…„å«‚
  ë§ží˜•ì˜ ì²˜  
2촌 둘째형 중형
仲兄
ì´í˜•
二兄
형제간 ì˜ì¤‘씨
令仲æ°
  둘째형수 둘째형수   ë‘˜ì§¸í˜•ì˜ ì²˜  
2촌 셋째형 숙형
å”å…„
삼형
三兄
형제간 ì˜ìˆ™ì”¨
令å”æ°
  셋째형수 셋째형수   ì…‹ì§¸í˜•ì˜ ì²˜  
2촌 아우 아제
阿弟
사제
èˆå¼Ÿ
형제간 ì˜ê³„위
令季ä½
  제수 제수
弟嫂
  ë™ìƒì˜ 처  

·누나 : 나 보다 먼저 ë‚œ ì•„ë²„ì§€ì˜ ë”¸, 누나, 여형제 남매,ì˜ì”¨(令æ°)
Â·ëˆ„ì´ : 나 보다 ë’¤ì— ë‚œ ì•„ë²„ì§€ì˜ ë”¸,ㅇ실(室)ì´, 여형제 남매,ì˜ë§¤ì”¨(令妹æ°)


 

관계 수
촌수(寸數)
내가 부를 때
칭호(稱號)
ë‚´ê°€ 남ì—게 ë§í•  ë•Œ
기지친ì†(己之親屬)
ë‚´ê°€ 나를 ë§í•  ë•Œ
친ì†ìžì¹­(親屬自稱)
ì¹­í˜¸ì˜ ì´ìœ 
연유(緣由)
ë‚¨ì˜ ê°€ì¡±ì„ ë§í•  ë•Œ
ì¸ì§€ì¹œì†(人之親屬)
3ì´Œ ë§ì•„버지 백부
伯父
백부
伯父
ì•„ë²„ì§€ì˜ ë§í˜• 존종부
尊從府
  ë§ì–´ë¨¸ë‹ˆ 백모
伯æ¯
백모
伯æ¯
ì•„ë²„ì§€ì˜ ë§í˜•ìˆ˜ 존백모
尊伯æ¯
3촌 둘째아버지 중부
仲父
중부
仲父
ì•„ë²„ì§€ì˜ ë‘˜ì§¸í˜• 존종부
尊從府
  둘째어머니 중모
仲æ¯
중모
仲æ¯
ì•„ë²„ì§€ì˜ ë‘˜ì§¸í˜•ìˆ˜ 존중모
尊仲æ¯
3촌 셋째아버지 숙부
å”父
사숙
èˆå”
ì•„ë²„ì§€ì˜ ì…‹ì§¸í˜• 존종부
尊從府
  셋째어머니 숙모
å”æ¯
숙모
å”æ¯
ì•„ë²„ì§€ì˜ ì…‹ì§¸í˜•ìˆ˜ 존숙모
å°Šå”æ¯
3ì´Œ ë아버지 계부
季父
계부
èˆå”
ì•„ë²„ì§€ì˜ ì•„ìš° 존종부
尊從府
  ë어머니 숙모
å”æ¯
숙모
å”æ¯
ì•„ë²„ì§€ì˜ ì œìˆ˜ 존숙모
å°Šå”æ¯
3ì´Œ ì¡°ì¹´ 종ìž, 아질
從å­, 阿姪
종ìž
從å­
í˜•ì œì˜ ì•„ë“¤  
  질부 질부
姪婦
질부
姪婦
í˜•ì œì˜ ë©°ëŠë¦¬  
4촌 종형제 종형, 종제
從兄, 從弟
종형, 종제
從兄, 從弟
백부, ìˆ™ë¶€ì˜ ì•„ë“¤ ì˜ì¢…씨
令從æ°
  종수 종형수
從兄嫂
종수
從嫂
백부, 숙부ì˜
ë©°ëŠë¦¬
 
4촌 종조 종조
從祖
종조
從祖
í• ì•„ë²„ì§€ì˜ í˜•ì œ  
  종조모 종조모
從祖æ¯
종조모
從祖æ¯
할아버지ì˜
형제, 형수
 
4ì´Œ ì¢…ì† ì¢…ì†
從孫
종ì†
從孫
í˜•ì œì˜ ì†ìž  
  종ì†ë¶€ 종ì†ë¶€
從孫婦
종ì†ë¶€
從孫婦
í˜•ì œì˜ ì†ë¶€  
5촌 종숙 종숙
從å”
종숙
從å”
아버지ì˜
사촌형제
종숙장
從å”丈
  종숙모 종숙모
從å”æ¯
종숙모
從å”æ¯
아버지ì˜
ì‚¬ì´Œí˜•ì œì˜ ì²˜
 
5촌 종질 종질
從侄
종질
從侄
ì‚¬ì´Œí˜•ì œì˜ ì•„ë“¤ ì˜ì¢…질
令從侄
  종질부 종질부
從侄婦
종질부
從侄婦
ì‚¬ì´Œí˜•ì œì˜ ë©°ëŠë¦¬  
6촌 재종형제 재종형, 재종제
å†å¾žå…„, å†å¾žå¼Ÿ
재종형, 재종제
å†å¾žå…„, å†å¾žå¼Ÿ
ì˜¤ì´Œì˜ ì•„ë“¤ ì˜ìž¬ì¢…씨
令å†å¾žæ°
  재종수 재종수
å†å¾žå«‚
  ì˜¤ì´Œì˜ ë©°ëŠë¦¬  
6촌 재종조 재종조
å†å¾žç¥–
재종조
å†å¾žç¥–
í• ì•„ë²„ì§€ì˜ ì‚¬ì´Œí˜•ì œ  
  재종조모 재종조모
å†å¾žç¥–æ¯
재종조모
å†å¾žç¥–æ¯
í• ì•„ë²„ì§€ì˜ ì‚¬ì´Œì˜ ì²˜  
6ì´Œ ìž¬ì¢…ì† ìž¬ì¢…ì†
å†å¾žå­«
재종ì†
å†å¾žå­«
ì‚¬ì´Œí˜•ì œì˜ ì†ìž  
  재종ì†ë¶€ 재종ì†ë¶€
å†å¾žå­«å©¦
재종ì†ë¶€
å†å¾žå­«å©¦
ì‚¬ì´Œí˜•ì œì˜ ì†ë¶€  
7촌 재종숙 재종숙
å†å¾žå”
재종숙
å†å¾žå”
ì•„ë²„ì§€ì˜ ìœ¡ì´Œí˜•ì œ  
  재종숙모 재종숙모
å†å¾žå”æ¯
재종숙모
å†å¾žå”æ¯
아버지ì˜
ìœ¡ì´Œí˜•ì œì˜ ì²˜
 
7ì´Œ 재종질 å†å¾žä¾„ å†å¾žä¾„ ìœ¡ì´Œì˜ ì•„ë“¤  
  재종질부 재종질부
å†å¾žä¾„婦
재종질부
å†å¾žä¾„婦
ìœ¡ì´Œì˜ ë©°ëŠë¦¬  
8촌 삼종형제 삼종형제
三從兄弟
삼종형, 삼종제
三從兄, 三從弟
아버지ì˜
ì¹ ì´Œì˜ ì•„ë“¤
ì˜ì‚¼ì¢…질
令三從侄
  삼종수 삼종수
三從嫂
  아버지ì˜
ì¹ ì´Œì˜ ì•„ë“¤ì˜ ì²˜
 

 

·8ì´Œ(八寸)까지는 유복내(有æœå…§)ë¼ í•˜ê³  9ì´Œ(ä¹å¯¸)부터는 ë³µ(æœ)ì´ ì—†ìœ¼ë¯€ë¡œ ë©´ë³µ(å…æœ)ì´ë¼ 합니다.
·9ì´Œ(ä¹å¯¸)ì´ ë„˜ìœ¼ë©´ 족형(æ—å…„), 족숙(æ—å”)ì´ë¼ 하며 본ì¸(本人)ì— ëŒ€í•´ì„œëŠ” íƒí˜¸(宅號)를 붙여
아무아제, 아무형ì´ë¼ 부릅니다.


외가호칭(外家稱號)


관계 수
촌수(寸數)
내가 부를 때
칭호(稱號)
ë‚´ê°€ 남ì—게 ë§í•  ë•Œ
기지친ì†(己之親屬)
ë‚´ê°€ 나를 ë§í•  ë•Œ
친ì†ìžì¹­(親屬自稱)
ì¹­í˜¸ì˜ ì´ìœ 
연유(緣由)
ë‚¨ì˜ ê°€ì¡±ì„ ë§í•  ë•Œ
ì¸ì§€ì¹œì†(人之親屬)
  외할아버지 외조
外祖
외옹
外ç¿
ì–´ë¨¸ë‹ˆì˜ ì•„ë²„ì§€ 존외왕부
尊外王父
  외할머니 외조모
外祖æ¯
외조모
外祖æ¯
ì–´ë¨¸ë‹ˆì˜ ì–´ë¨¸ë‹ˆ  
3촌 외아제 외삼촌
外三寸
구
舅
ì™¸ì¡°ë¶€ì˜ ì•„ë“¤  
  외아주머니 외숙모
外å”æ¯
  ì™¸ì¡°ë¶€ì˜ ë©°ëŠë¦¬  
4촌 외사촌 내종형, 내종제
內從兄, 內從弟
  ì™¸ì‚¼ì´Œì˜ ì•„ë“¤  
4ì´Œ 외종ìžë§¤ 외종ìž, 외종매
外從姉, 外從妹
  ì™¸ì‚¼ì´Œì˜ ë”¸  
  외종수 외종수
外從嫂
  ì™¸ì‚¼ì´Œì˜ ë©°ëŠë¦¬  
5촌 외오촌 외종숙
外從å”
  ì–´ë¨¸ë‹ˆì˜ ì‚¬ì´Œ  
6촌 외육촌 외재종형제
外å†å¾žå…„弟
  ì–´ë¨¸ë‹ˆì˜ ì‚¬ì´Œì•„ë“¤  
  진외가 진외가
陳外家
  ì•„ë²„ì§€ì˜ ì™¸ê°€  
  ì¦ì™¸ê°€ ì¦ì™¸ê°€
曾外家
  í• ì•„ë²„ì§€ì˜ ì™¸ê°€  
  고외가 고외가
高外家
  ì¦ì¡°í• ì•„ë²„ì§€ì˜ ì™¸ê°€  
  시외가 시외가
媤外家
  ë‚¨íŽ¸ì˜ ì™¸ê°€  
  외외가 외외가
外外家
  ì–´ë¨¸ë‹ˆì˜ ì™¸ê°€  


시가호칭(媤家稱號) ë° ì²˜ê°€í˜¸ì¹­(妻家稱號)


시가호칭(媤家稱號)


내가 부를 때
칭호(稱號)
ë‚´ê°€ 남ì—게 ë§í•  ë•Œ
기지친ì†(己之親屬)
ë‚´ê°€ 나를 ë§í•  ë•Œ
친ì†ìžì¹­(親屬自稱)
ì¹­í˜¸ì˜ ì´ìœ 
연유(緣由)
ë‚¨ì˜ ê°€ì¡±ì„ ë§í•  ë•Œ
ì¸ì§€ì¹œì†(人之親屬)
아버님 시부
媤父
시아버지 ë‚¨íŽ¸ì˜ ì•„ë²„ì§€  
어머님 시모
媤æ¯
시어머니 ë‚¨íŽ¸ì˜ ì–´ë¨¸ë‹ˆ  
아주버님 시숙
媤å”
  ë‚¨íŽ¸ì˜ í˜•  
형님, ìƒˆëŒ ë™ì„œ
åŒæ£²
  ë‚¨íŽ¸ì˜ í˜•ì˜ ì²˜  
ë˜ë ´, 아지벰 ì‹œë™ìƒ
媤åŒç”Ÿ
ì‹œë™ìƒ ë‚¨íŽ¸ì˜ ë‚¨ë™ìƒ  
형님, 아가씨 ì‹œìžë§¤
媤姉妹
ì‹œëˆ„ì´ ë‚¨íŽ¸ì˜ ì—¬í˜•ì œ  
ë§ì•„버님 시백부
媤伯父
시백부
媤伯父
ë‚¨íŽ¸ì˜ ë§ì•„버지  
ë§ì–´ë¨¸ë‹˜ 시백모
媤伯æ¯
시백모
媤伯æ¯
ë‚¨íŽ¸ì˜ ë§ì–´ë¨¸ë‹ˆ  
ë아버님 시숙부
媤å”父
시숙부
媤å”父
ë‚¨íŽ¸ì˜ ë아버지  
ë어머님 시숙모
媤å”æ¯
시숙모
媤å”æ¯
ë‚¨íŽ¸ì˜ ë어머니  
**아주버님 시종숙부
媤從å”父
시종숙부
媤從å”父
ë‚¨íŽ¸ì˜ ì˜¤ì´Œ  
**아주머님 시종숙모
媤從å”æ¯
시종숙모
媤從å”æ¯
ë‚¨íŽ¸ì˜ ì˜¤ì´Œì˜ ì²˜  

 

·시고모(媤姑æ¯) : ㅇㅇ아주머님(ㅇㅇ는 íƒí˜¸ê°€ 아니고 시집 마ì„ì´ë¦„)
·시사촌형(媤四寸兄)ì€ ì‹œì¢…ìˆ™(媤從å”)ì´ì§€ ì¢…ì‹œìˆ™ì´ ì•„ë‹™ë‹ˆë‹¤.


처가호칭(妻家稱號)


내가 부를 때
칭호(稱號)
ë‚´ê°€ 남ì—게 ë§í•  ë•Œ
기지친ì†(己之親屬)
ë‚´ê°€ 나를 ë§í•  ë•Œ
친ì†ìžì¹­(親屬自稱)
ì¹­í˜¸ì˜ ì´ìœ 
연유(緣由)
ë‚¨ì˜ ê°€ì¡±ì„ ë§í•  ë•Œ
ì¸ì§€ì¹œì†(人之親屬)
ìž¥ì¸ ìž¥ì¸
丈人
  ì²˜ì˜ ì•„ë²„ì§€ 존악장
尊岳丈
장모 장모
丈æ¯
  ì²˜ì˜ ì–´ë¨¸ë‹ˆ  
처남 처남
妻男
부제
婦弟
ì²˜ì˜ ë‚¨í˜•ì œ  
ì²˜ë‚¨ëŒ ì²˜ë‚¨ëŒ
妻男宅
  ì²˜ì˜ ë‚¨í˜•ì œì˜ ì²˜  
처형,처제 처형, 처제
妻兄, 妻弟
  ì²˜ì˜ ì—¬í˜•ì œ  
ë™ì„œ ë™ì„œ
åŒç·–
아제
阿弟
ì²˜ì˜ ì—¬í˜•ì œì˜ ë‚¨íŽ¸  
처질 처질
妻姪
부질
婦姪
ì²˜ì˜ ì¹œì •ì¡°ì¹´  
처질부 처질부
妻姪婦
  ì²˜ì˜ ì¹œì •ì¡°ì¹´ì˜ ì²˜  
처삼촌 처삼촌
妻三寸
ì¸ë§
姻末
ì²˜ì˜ ì¹œì •ì‚¼ì´Œ  
처사촌 처사촌
妻四寸
부종제
婦從弟
ì²˜ì˜ ì¹œì •ì‚¬ì´Œ  


·처가(妻家)ì—는 ê·€(è²´)í•œ ì†(ì†ë‹˜)ì˜ ëŒ€ì ‘(待接)ì„ ë°›ê¸°ì— ì·¨ê°(娶客)ì˜ ì˜ˆì ˆ(禮節)ì„ ê°–ì¶”ì–´ì•¼ ë˜ë¯€ë¡œ
특히 ë§í•˜ê¸°ì— ì‹ ê²½(神經)ì„ ì¨ì•¼í•©ë‹ˆë‹¤.
·장ì¸(丈人), 장모(丈æ¯)ì—게 ë°ë¦´ì‚¬ìœ„ë¡œ 장가간 경우(境é‡)ê°€ 아니면 절대 아버님, 어머님ì´ëž€ 부름ë§ì„
사용(使用)í•´ì„  아니ë˜ê³ , 그렇게 í•  경우ì—는 ìžì‹ (自身) ë° ìžì‹(å­æ¯)ì˜ ì„±(姓)ë„ ìž¥ì¸(丈人)ì˜ ì„±ì„ ë”°ë¦„ì´
ì˜³ì„ ê²ƒìž…ë‹ˆë‹¤.
·처남(妻男), ë™ì„œ(åŒç·–)ì—게는 절대로 형(å…„)님ì´ë¼ëŠ” 부름ë§ì„ 사용(使用)해서는 안ë©ë‹ˆë‹¤.
·처(妻)ì—게는 ìžê¸° 보다 ì—¬ëŸì‚´ ì´ìƒ(以上)ì´ ë˜ëŠ” 경우(境é‡)? " 하소" ë§ì„ 하고 ì—¬ëŸì‚´ê¹Œì§€ëŠ”
" 하게ë§" ì„ ì‚¬ìš©í•´ì•¼í•˜ë©°, " ~습니다" ë¼ëŠ” ë§ì„ 하지 않는 ê²ƒì´ ì›ì¹™(原則)입니다.
·처당여ìž(妻黨女å­, 처가집 ê°€ì¡±ì˜ ì—¬ìž)들 ê°€ìš´ë° ìž¥ëª¨ê¸‰(丈æ¯çµ¦)ê³¼ ê·¸ 위급(上級)ì¸ ìž¥ì¡°ëª¨(丈祖æ¯)급ì—는
" 예, ì € ~습니다" ë§ì¸ 공경(æ­æ•¬)ë§ì„ 사용(使用)해야 ë˜ê³ , ê·¸ ì•„ëž˜ì— ë“  ì—¬ìž(女å­)들ì—게는 모ë‘
" 예, ë‚´ ~습니다" ë§ì¸ 삼가ë§ì„ 사용해야 ë©ë‹ˆë‹¤. 특히 처제, 처남딸, 처남며ëŠë¦¬, 처남ì†ë…€, 처남ì†ë¶€ì—게
" í•´ë¼" ë§ì„ 사용하는 경우를 ì—°ì†ê·¹ì—ì„œ ë³´ëŠ”ë° ì´ëŠ” ìž˜ëª»ëœ ê²½ìš°ë¼ ìƒê°ë©ë‹ˆë‹¤.
·처숙모(妻å”æ¯)ë˜ëŠ” ì‚¬ëžŒì€ ì§ˆ(姪, ì¡°ì¹´)ì—게 " 나 ~습니다" ë¼ëŠ” 삼가ë§ì„ 사용해야 ë©ë‹ˆë‹¤.


고모가호칭(姑æ¯å®¶ç¨±è™Ÿ) ë° ì´ëª¨ê°€í˜¸ì¹­(姨æ¯å®¶ç¨±è™Ÿ)

고모가호칭(姑æ¯å®¶ç¨±è™Ÿ)


관계 수
촌수(寸數)
내가 부를 때
칭호(稱號)
ë‚´ê°€ 남ì—게 ë§í•  ë•Œ
기지친ì†(己之親屬)
ë‚´ê°€ 나를 ë§í•  ë•Œ
친ì†ìžì¹­(親屬自稱)
ì¹­í˜¸ì˜ ì´ìœ 
연유(緣由)
ë‚¨ì˜ ê°€ì¡±ì„ ë§í•  ë•Œ
ì¸ì§€ì¹œì†(人之親屬)
3촌 고모 고모
姑æ¯
고모
姑æ¯
ì•„ë²„ì§€ì˜ ìžë§¤  
  고모부 고모부
姑æ¯å¤«
ì¸ë§
姻末
ê³ ëª¨ì˜ ë‚¨íŽ¸  
4촌 고종사촌 고종형, 고종제
姑從兄, 姑從弟
표종형, 표종제
表從兄, 表從弟
ê³ ëª¨ì˜ ì•„ë“¤  
  고종수 고종수
姑從嫂
  ê³ ëª¨ì˜ ë©°ëŠë¦¬  
5ì´Œ 종고모 종고모ìžë§¤
從姑æ¯å§‰å¦¹
종고모
從姑æ¯
ì•„ë²„ì§€ì˜ ì‚¬ì´Œ  
7ì´Œ 재종고모 재종고모ìžë§¤
å†å¾žå§‘æ¯å§‰å¦¹
  ì•„ë²„ì§€ì˜ ìœ¡ì´Œ  
  존고모 존고모
尊姑æ¯
  ì•„ë²„ì§€ì˜ ê³ ëª¨  

·고모(姑æ¯)ì˜ ë¶€ë¦„ë§ì€ ㅇㅇ아주머니
·고모부(姑æ¯å¤«)ì˜ ë¶€ë¦„ë§ì€ ㅇㅇ새아제
·존고모(尊姑æ¯)ì˜ ë¶€ë¦„ë§ì€ ㅇㅇ할머니
·존고모부(尊姑æ¯å¤«)ì˜ ë¶€ë¦„ë§ì€ ㅇㅇ새할아버지
·고종사촌형(姑從四寸兄)ì´ ì™¸ì¢…í˜•(外從兄, 표종)ì´ê³ , 외사촌형(外四寸兄)ì´ ë‚´ì¢…í˜•(內從兄)ìž„.
·남ìžì˜ 경우 고종(姑從)ì˜ ë©°ëŠë¦¬ì—게는 " 나 ~습니다" ë¼ëŠ” 삼가ë§ì„ 사용해야 ë©ë‹ˆë‹¤.


ì´ëª¨ê°€í˜¸ì¹­(姨æ¯å®¶ç¨±è™Ÿ)


내가 부를 때
칭호(稱號)
ë‚´ê°€ 남ì—게 ë§í•  ë•Œ
기지친ì†(己之親屬)
ë‚´ê°€ 나를 ë§í•  ë•Œ
친ì†ìžì¹­(親屬自稱)
ì¹­í˜¸ì˜ ì´ìœ 
연유(緣由)
ë‚¨ì˜ ê°€ì¡±ì„ ë§í•  ë•Œ
ì¸ì§€ì¹œì†(人之親屬)
ì´ëª¨ ì´ëª¨
姨æ¯
ì´ëª¨
姨æ¯
ì–´ë¨¸ë‹ˆì˜ ì—¬í˜•ì œ  
ì´ëª¨ë¶€ ì´ëª¨ë¶€, 종모부
姨æ¯å¤«, 從æ¯å¤«
ì¸ë§
姻末
ì´ëª¨ì˜ 남편  
ì´ì¢…사촌 ì´ì¢…형, ì´ì¢…ì œ
姨從兄, 姨從弟
ì´í˜•, ì´ì œ
姨兄, 姨弟
ì´ëª¨ì˜ 아들  
ì´ì¢…수 ì´ì¢…수
姨從嫂
  ì´ëª¨ì˜ ë©°ëŠë¦¬  
ì´ì¢…질 ì´ì¢…질
姨從姪
ì´ì¢…질
姨從姪
ì´ì¢…í˜•ì œì˜ ì•„ë“¤  
종ì´ì¢… 종ì´ì¢…
從姨從
  ì–´ë¨¸ë‹ˆì˜ ì—¬ì‚¬ì´Œì˜ ì•„ë“¤  
ì¡´ì´ì¢… ì¡´ì´ì¢…
尊姨從
  ì•„ë²„ì§€ì˜ ì´ì¢…