봉호(封號)
나라에 공(功)을 세운 자에게 왕(王)이 봉하여 내려준 호(號)이다. 공신(功臣)이란 훈호(勳號)가 내려지거나 군(君) 또는 부원군(府院君)으로 봉군(封君)하는 것이며 유현(儒賢)들도 죽은 뒤에 행적(行蹟)을 칭송하여 추증(追贈)하는 것이다. 그 밖에 위(尉)는 왕(王)의 사위의 호칭(呼稱)이고 왕후(王后)의 친정아버지에게도 부원군(府院君)이라고 봉군(封君)하며 봉군부원군(封君府院君) 앞에는 그 사람의 본관(本貫)을 붙인다.
봉군(封君) |
휘자(諱字) |
자호(字號) |
관직(官職) |
국별(國別) |
관계(關係) |
파명(派名) |
낙랑후(樂浪侯) |
지백호(智伯虎) |
인세(仁世) |
자진지촌장 (觜珍支村長)
|
신라(新羅) |
시조(始祖) |
|
시림군(始林君) |
년(年) |
|
대각간 (大角干)
|
신라(新羅) |
시중공(侍中公) 장자(長子) |
|
계림군(鷄林君) |
현성(玄成) |
|
금오위대장군 (金吾衛大將軍)
|
신라(新羅) |
정간공(貞簡公) 장자(長子) |
|
월성부원군 (月城府院君)
|
달강(達康) |
|
좌복사평장사 (左僕射平章事)
|
신라(新羅) |
문하공(門下公) 장자(長子) |
|
월성군(月城君) |
진후(珍厚) |
매포(梅圃) |
정당문학 (政堂文學)
|
고려(高麗) |
정승공(政氶公) 장자(長子) |
|
월성군(月城君) |
종철(宗哲) |
|
이부상서 (吏部尙書)
|
고려(高麗) |
문헌공(文獻公) 장자(長子) |
문헌공파(文獻公派) |
월성군(月城君) |
자초(子楚) |
|
증대제학 (贈大提學)
|
고려(高麗) |
사재경(司宰卿) 장손(長孫) |
양경공파(良景公派) |
월성부원군 (月城府院君)
|
휘(暉) |
국헌(菊軒) |
증영의정 (贈領議政)
|
고려(高麗) |
사재경(司宰卿) 증손(曾孫) |
양경공파(良景公派) |
월성부원군 (月城府院君)
|
희계(熙啓) |
양성헌(養性軒) |
증우의정 (贈右議政)
|
조선(朝鮮) |
문충공(文忠公) 장자(長子) |
양경공파(良景公派) |
계림군(鷄林君) |
지년(知年) |
유영(有永) |
증좌찬성 (贈左贊成)
|
조선(朝鮮) |
안숙공(安肅公) 증손(曾孫) |
문헌공파(文獻公派) |
계림군(鷄林君) |
효상(孝祥) |
백원(百源) |
이조판서 (吏曹判書)
|
조선(朝鮮) |
양경공(良景公) 차자(次子) |
양경공파(良景公派) |
계림군(鷄林君) |
효상(孝常) |
가구(可久) |
이조판서 (吏曹判書)
|
조선(朝鮮) |
노송정공(老松亭公) 차자(次子) |
문헌공파(文獻公派) |
시호(誌號)
벼슬길에 있던 자의 사후(死後)에 왕(王)이 내려주는 은전(恩典)의 하나이다. 문무백관(文武百官)으로서 정이품(正二品) 이상의 실직(實職)에 있던 자에게 추증(追贈)하는 것이며 또 덕행(德行)과 도학(道學)이 고명한 유현(儒賢)과 절의에 죽은 사람으로 현저한 공훈(功勳)이 있는 자는 정이품(正二品)이 아니더라도 특별히 시호(諡號)를 내리는 것이다. 시호(諡號)를 정하는 법은 주공시법(周公諡法) 또는 춘추시법(春秋諡法)에 의하여 생전(生前)의 행적(行蹟)에 알맞은 글자를 조합(調合)하여 두 자로 만들었고 조선왕조(朝鮮王朝)에서는 문관우위(文官優位)의 시대로 문관(文官)은 「문(文)」자와 무관(武官)은 「충(忠)」자가 들어간 시호(諡號)를 최고의 영예로 여겼다.
봉군(封君) |
휘자(講字) |
자호(字號) |
관직(官職) |
국별(國別) |
관계(閱係) |
파명(派名) |
문화공(文和公) |
지백호(智伯虎) |
인세(仁世) |
자산진지촌장 (觜山珍支村長)
|
신라(新羅) |
시조(始祖) |
|
정간공(貞簡公) |
유천(遊天) |
|
안무도지휘사 (按撫都指揮使)
|
신라(新羅) |
시중공(侍中公) 장자(長子) |
|
경렬공(景烈公) |
현성(玄成) |
|
금오위대장군 (金吾衛大將軍)
|
신라(新羅) |
정간공(貞簡公) 장자(長子) |
|
익렬공(翼烈公) |
극온(克溫) |
|
이부상서 (吏部尙書)
|
신라(新羅) |
평장공(平章公) 부(父) |
|
문정공(文正公) |
진후(珍厚) |
매포(梅圃) |
정당문학 (政堂文學)
|
고려(高麗) |
정승공(政氶公) 장자(長子) |
|
창렬공(彰烈公) |
보기(寶奇) |
부 |
병마도원수 (兵馬都元帥)
|
고려(高麗) |
문정공(文正公) 장손(長孫) |
|
문헌공(文獻公) |
현영(玄英) |
추강(秋江) |
문하시중 (門下侍中)
|
고려(高麗) |
복사공(僕射公) 장자(長子) |
문헌공파(文獻公派) |
안숙공(安肅公) |
종보(宗輔) |
|
보문각대제학 (寶文閣大提學)
|
고려(高麗) |
문헌공(文獻公) 차자(次子) |
문헌공파(文獻公派) |
충렬공(忠烈公) |
인조(仁祚) |
|
대장군 (大將軍)
|
고려(高麗) |
월성군(月城君) 차자(次子) |
문헌공파(文獻公派) |
문충공(文忠公) |
휘(暉) |
국헌(菊軒) |
증령의정 (贈領議政)
|
고려(高麗) |
사재경(司宰卿) 장손(長孫) |
양경공파(良景公派) |
양경공(良景公) |
희계(熙啓) |
양성헌(養性軒) |
증우의정 (贈右議政)
|
조선(朝鮮) |
문충공(文忠公) 장자(長子) |
양경공파(良景公派) |
문간공(文簡公) |
효상(孝祥) |
백원(百源) |
이조판서 (吏曹判書)
|
조선(朝鮮) |
양경공(良景公) 차자(次子) |
양경공파(良景公派) |
제안공(齊安公) |
효상(孝常) |
가구(可久) |
이조판서 (吏曹判書)
|
조선(朝鮮) |
노송정공(老松亭公) 차자(次子) |
문헌공파(文獻公派) |
정간공(貞簡公) |
차온(次溫) |
성후(聖厚) |
증좌찬성 (贈左贊成)
|
조선(朝鮮) |
익렬공(翼烈公) 후손(後孫) |
평경공파(平景公派) |
충장공(忠壯公) |
발(撥) |
자고(子固) |
증좌찬성 (贈左贊成)
|
조선(朝鮮) |
간성공(杆城公) 차자(次子) |
양경공파(良景公派) |
|